이 시리즈는 99클럽 1일 1아티클 챌린지에 참여하며 매일 한 편의 아티클을 읽고,
인상 깊었던 문장과 개인적인 느낀 점, 핵심 내용을 기록한 글입니다.
매일 한 걸음씩, 꾸준히 성장하는 과정을 담습니다.
📌 아티클 정보
- 제목: 성공적인 애플리케이션 현대화를 위한 12가지 기본 원칙
- 링크: https://www.samsungsds.com/kr/insights/successful-application-modernization.html
- 출처: Andrew Min 님의 SamsungSDS 사이트 글
- 읽은 날짜: 2025.04.11(금)
✨ 인상 깊었던 한 줄
디지털 전환의 핵심 요소기술인 AI/ML, 빅데이터, 블록체인, IoT, 메타버스 등의 기술 수준이 빠르게 성숙함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이 이러한 기술들을 쉽게 활용하고 보조를 맞출 수 있도록 준비되어야 합니다.
💡 왜 이 부분이 인상 깊었나요?
AI 기술이 단지 독립적인 연구나 모델 개발에만 머무르지 않고 이제는 기존 시스템 전반에 영향을 주며 실제 서비스 환경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실감하게 해주었다. 특히, AI 엔지니어 직무를 꿈꾸는 나에게 이 문장은 내가 만든 기술이 점점 더 다양한 시스템과 연결되어야 하고 애플리케이션 차원에서 이를 유연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구조와 준비가 필요하다는 점을 전달해 주었다. AI 엔지니어로서 직접 애플리케이션 구조를 다루지는 않지만 내가 개발한 기능이 어디에서 어떤 방식으로 활용될지를 이해하는 것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고 이러한 기술적 흐름을 알고 있는 것만으로도 협업과 방향성 판단에 있어 훨씬 유리해질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 아티클 요약 (3~5개 불렛 포인트)
- 애플리케이션 현대화는 클라우드 환경에 맞게 아키텍처와 운영 방식을 개선하는 작업임
- 12요소 원칙을 적용하면 배포, 유지보수, 확장성이 향상됨
- 주요 원칙에는 코드 관리, 의존성 선언, 구성 정보 분리, 무상태성, 로그 스트리밍 등이 있음
- 개발·운영 환경 간 일치성과 코드 기반의 관리 작업 자동화가 중요함
- 전면 재개발보단, 우선순위 기반의 단계적 적용이 현실적임
🧠 오늘의 인사이트 / 나에게의 의미
기존 레거시 앱이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원활히 동작하도록 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 현대화의 기본으로 12요소 애플리케이션 원칙을 적용한다는 개념은 이번에 처음 접했다. 그동안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서비스 개발을 주로 해오면서도 이런 원칙을 체계적으로 접할 기회는 많지 않았는데 이 글을 통해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확장성과 유연성을 고려한 구조 설계가 얼마나 중요한지, 그리고 그것이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정리된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현재는 AI 엔지니어를 지망하고 있지만, 과거의 애플리케이션 개발 경험과 이번 글에서 접한 현대화 원칙을 연결해보니 앞으로 내가 구축하게 될 AI 시스템 역시 이런 구조적 기반 위에 놓이게 될 것이라는 점이 자연스럽게 떠올랐다. 단순히 모델을 만드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모델이 실제 서비스로 잘 통합되기 위해 어떤 환경이 뒷받침되어야 하는지를 미리 생각해보게 된 계기였다. 기술이 빠르게 변하는 만큼 아키텍처적 시야를 갖고 다양한 기술 흐름을 이해하려는 태도가 앞으로 더 중요해질 것 같다.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99클럽 1일 1아티클] Day 5 - The Best Programmers I Know (0) | 2025.04.15 |
---|---|
[99클럽 1일 1아티클] Day 4 - 논문 리뷰 하는 방법 (0) | 2025.04.14 |
[99클럽 1일 1아티클] Day 2 - 주니어 개발자의 복수 (Revenge of the junior developer) (0) | 2025.04.10 |
[99클럽 1일 1아티클] Day 1 - 법대생이었던 내가 일어나보니 개발자가 된 건에 대하여 (0) | 2025.04.09 |
Build with AI Campus Korea: 모두를 위한 AI TOY STORY 참여 후기 (0) | 2024.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