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4.1 요청과 응답 이해하기
🌕 서버와 클라이언트 소통 순서
1.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요청(request) 전송
2. 서버가 요청을 처리
3. 서버가 클라이언트로 응답(response) 전송
🌕 노드로 http 서버 만들기
- createServer로 요청 이벤트에 대기
- req 객체 : 요청(request)에 관한 정보
- res 객체: 응답(response)에 관한 정보
const http = require("http");
http.createServer((req, res) => {
// 여기에 어떻게 응답할지 적기
});
🌕 8080 포트 연결하기
- res 메서드로 응답 보냄
- write로 응답 내용을 적고, end로 응답 마무리(내용을 넣어도 됨)
- listen(포트) 메서드로 특정 포트에 연결
const http = require('http');
http.createServer((req, res) => {
res.writeHead(200, { 'Content-Type': 'text/html; charset=utf-8' });
res.write('<h1>Hello Node!</h1>');
res.end('<p>Hello Server!</p>');
})
.listen(8080, () => { // 서버 연결
console.log('8080번 포트에서 서버 대기 중입니다!');
});
🌕 이벤트 리스너 붙이기
- listening과 error 이벤트 추가 가능
const http = require('http');
const server = http.createServer((req, res) => {
res.writeHead(200, { 'Content-Type': 'text/html; charset=utf-8' });
res.write('<h1>Hello Node!</h1>');
res.end('<p>Hello Server!</p>');
});
server.listen(8080);
server.on('listening', () => {
console.log('8080번 포트에서 서버 대기 중입니다!');
});
server.on('error', (error) => {
console.error(error);
});
🌕 한 번에 여러 개의 서버 실행하기
- createServer를 여러 번 호출하면 됨(두 서버의 포트를 다르게 지정)
const http = require('http');
http.createServer((req, res) => {
res.writeHead(200, { 'Content-Type': 'text/html; charset=utf-8' });
res.write('<h1>Hello Node!</h1>');
res.end('<p>Hello Server!</p>');
})
.listen(8080, () => { // 서버 연결
console.log('8080번 포트에서 서버 대기 중입니다!');
});
http.createServer((req, res) => {
res.writeHead(200, { 'Content-Type': 'text/html; charset=utf-8' });
res.write('<h1>Hello Node!</h1>');
res.end('<p>Hello Server!</p>');
})
.listen(8081, () => { // 서버 연결
console.log('8081번 포트에서 서버 대기 중입니다!');
});
🌕 HTML 읽어서 전송하기
- write와 end에 문자열을 넣는 것은 비효율적
- fs 모듈로 html을 읽어서 전송
const http = require('http');
const fs = require('fs').promises;
http.createServer(async (req, res) => {
try {
const data = await fs.readFile('./server2.html');
res.writeHead(200, { 'Content-Type': 'text/html; charset=utf-8' });
res.end(data);
} catch (err) {
console.error(err);
res.writeHead(500, { 'Content-Type': 'text/plain; charset=utf-8' });
res.end(err.message);
}
})
.listen(8081, () => {
console.log('8081번 포트에서 서버 대기 중입니다!');
});
🌕 HTTP 상태 코드
- writeHead 메서드에 첫 번째 인수로 넣은 값, 요청이 성공했는지 실패했는지를 알려줌
- 2XX: 성공을 알리는 상태 코드, 200(성공), 201(작성됨)
- 3XX: 리다이렉션(다른 페이지로 이동)을 알리는 상태 코드, 어떤 주소를 입력했는데 다른 주소의 페이지로 넘어갈 때 이 코드 사용, 301(영구 이동), 302(임시 이동)
- 4XX: 요청 오류를 나타내는 상태 코드, 요청 자체에 오류가 있을 때 표시, 401(권한 없음), 403(금지됨), 404(찾을 수 없음)
- 5XX: 서버 오류를 나타내는 상태 코드, 요청은 제대로 왔지만 서버에 오류가 생겼을 때 발생, 클라이언트로 res.writeHead로 직접 보내는 경우 없음, 500(내부 서버 오류), 502(불량 게이트웨이), 503(서비스를 사용할 수 없음)
4.2 REST와 라우팅 사용하기
🌕 REST API
- 서버에서 요청을 보낼 때는 주소를 통해 요청의 내용을 표현
- 주소가 /index/html이면 index/html을 보내 달라는 뜻
- 항상 html을 요구할 필요 x, 서버가 이해하기 쉬운 주소 GOOD
- REST API(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 서버의 자원을 정의하고 자원에 대한 주소를 지정하는 방법
- 명사 사용
- /user면 사용자 정보에 관한 내용을 요청하는 것
- /post면 게시글에 관련된 자원을 요청하는 것
🌕 HTTP 요청 메서드
- GET: 서버 자원을 가져오고자 할 때 사용
- POST: 서버에 자원을 새로 등록하고자 할 때 사용(또는 뭘 써야 할지 애매할 때)
- PUT: 서버의 자원을 요청에 들어있는 자원으로 치환하고자 할 때 사용
- PATCH: 서버 자원의 일부만 수정하고자 할 때 사용
- DELETE: 서버의 자원을 삭제하고자 할 때 사용
- OPTIONS: 요청을 하기 전에 통신 옵션 설명하기 위해 사용
🌕 HTTP 프로토콜
- 클라이언트가 누구든 서버와 HTTP 프로토콜로 소통 가능
- ios, 안드로이드, 웹이 모두 같은 주소로 요청 보낼 수 있음
-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분리
- RESTful
- REST API를 사용한 주소 체계를 이용하는 서버
- REST를 따르는 서버를 ‘RESTful하다’고 표현
- GET /user는 사용자를 조회하는 요청, POST /user는 사용자를 등록하는 요청
🌕 REST 서버 만들기
- GET 메서드에서 /, /about 요청 주소는 페이지를 요청하는 것이므로 HTML 파일을 읽어서 전송, AJAX 요청을 처리하는 /users에서는 users 데이터를 전송, JSON 형식으로 보내기 위해 JSON.stringify 사용, 그 외의 GET 요청은 CSS나 JS 파일을 요청하는 것이므로 찾아서 보내주고, 없다면 404 NOT FOUND 에러 응답
- POST와 PUT 메서드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데이터를 받으므로 특별한 처리 필요, req.on('data', 콜백)과 req.on('end', 콜백), 3.6.2절의 버퍼와 스트림에서 배웠던 readStream, readStream으로 요청과 같이 들어오는 요청 본문을 받을 수 있음, 단, 문자열이므로 JSON으로 만드는 JSON.parse 과정 한 번 필요
- DELETE 메서드로 요청이 오면 주소에 들어 있는 키에 해당하는 사용자 제거
- 해당하는 주소가 없을 경우 404 NOT FOUND 에러 응답
const http = require('http');
const fs = require('fs').promises;
const path = require('path');
const users = {}; // 데이터 저장용
http.createServer(async (req, res) => {
try {
if (req.method === 'GET') {
if (req.url === '/') {
const data = await fs.readFile(path.join(__dirname, 'restFront.html'));
res.writeHead(200, { 'Content-Type': 'text/html; charset=utf-8' });
return res.end(data);
} else if (req.url === '/about') {
const data = await fs.readFile(path.join(__dirname, 'about.html'));
res.writeHead(200, { 'Content-Type': 'text/html; charset=utf-8' });
return res.end(data);
} else if (req.url === '/users') {
res.writeHead(200, { 'Content-Type': 'application/json; charset=utf-8' });
return res.end(JSON.stringify(users));
}
// /도 /about도 /users도 아니면
try {
const data = await fs.readFile(path.join(__dirname, req.url));
return res.end(data);
} catch (err) {
// 주소에 해당하는 라우트를 못 찾았다는 404 Not Found error 발생
}
} else if (req.method === 'POST') {
if (req.url === '/user') {
let body = '';
// 요청의 body를 stream 형식으로 받음
req.on('data', (data) => {
body += data;
});
// 요청의 body를 다 받은 후 실행됨
return req.on('end', () => {
console.log('POST 본문(Body):', body);
const { name } = JSON.parse(body);
const id = Date.now();
users[id] = name;
res.writeHead(201, { 'Content-Type': 'text/plain; charset=utf-8' });
res.end('등록 성공');
});
}
} else if (req.method === 'PUT') {
if (req.url.startsWith('/user/')) {
const key = req.url.split('/')[2];
let body = '';
req.on('data', (data) => {
body += data;
});
return req.on('end', () => {
console.log('PUT 본문(Body):', body);
users[key] = JSON.parse(body).name;
res.writeHead(200, { 'Content-Type': 'text/plain; charset=utf-8' });
return res.end(JSON.stringify(users));
});
}
} else if (req.method === 'DELETE') {
if (req.url.startsWith('/user/')) {
const key = req.url.split('/')[2];
delete users[key];
res.writeHead(200, { 'Content-Type': 'text/plain; charset=utf-8' });
return res.end(JSON.stringify(users));
}
}
res.writeHead(404);
return res.end('NOT FOUND');
} catch (err) {
console.error(err);
res.writeHead(500, { 'Content-Type': 'text/plain; charset=utf-8' });
res.end(err.message);
}
})
.listen(8082, () => {
console.log('8082번 포트에서 서버 대기 중입니다');
});
🌕 REST 요청 확인하기
- 개발자도구(F12) Network 탭에서 요청 내용 실시간 확인 가능
- Name은 요청 주소, Method는 요청 메서드, Status는 HTTP 응답 코드
- Protocol은 HTTP 프로토콜, Type은 요청 종류(xhr은 AJAX 요청)
🌕 헤더와 본문
- http 요청과 응답은 헤더와 본문을 가짐
- 헤더는 요청 또는 응답에 대한 정보를 가짐
- 본문은 주고받는 실제 데이터
4.3 쿠키와 세션 이해하기
🌕 쿠키의 필요성
- 요청의 한가지 단점
- 누가 요청을 보냈는지 알 수 없음
- 로그인 구현으로 해결, 쿠키와 세션 필요
- 쿠키: 키=값의 쌍
- name=zerocho
- 매 요청마다 서버에 동봉해서 보냄
- 서버는 쿠키를 읽어 누구인지 파악
🌕 쿠키 서버 만들기
- 쿠키 넣는 것을 직접 구현
- writeHead: 요청 헤더에 입력하는 메서드
- Set-Cookie: 브라우저에게 쿠키를 설정하라고 명령
const http = require('http');
http.createServer((req, res) => {
console.log(req.url, req.headers.cookie);
res.writeHead(200, { 'Set-Cookie': 'mycookie=test' });
res.end('Hello Cookie');
})
.listen(8083, () => {
console.log('8083번 포트에서 서버 대기 중입니다!');
});
🌕 쿠키로 나를 식별하기
- 쿠키에 내 정보를 입력
- parseCookies: 쿠키 문자열을 객체로 변환
- 주소가 /login인 경우와 /인 경우로 나뉨
- /login인 경우 쿼리스트링으로 온 이름을 쿠키로 저장
- 그 외의 경우 쿠키가 있는지 없는지 판단, 있으면 환영 인사, 없으면 로그인 페이지로 리다이렉트
const http = require('http');
const fs = require('fs').promises;
const path = require('path');
const parseCookies = (cookie = '') =>
cookie
.split(';')
.map(v => v.split('='))
.reduce((acc, [k, v]) => {
acc[k.trim()] = decodeURIComponent(v);
return acc;
}, {});
http.createServer(async (req, res) => {
const cookies = parseCookies(req.headers.cookie); // { mycookie: 'test' }
// 주소가 /login으로 시작하는 경우
if (req.url.startsWith('/login')) {
const url = new URL(req.url, 'http://localhost:8084');
const name = url.searchParams.get('name');
const expires = new Date();
// 쿠키 유효 시간을 현재시간 + 5분으로 설정
expires.setMinutes(expires.getMinutes() + 5);
res.writeHead(302, {
Location: '/',
'Set-Cookie': `name=${encodeURIComponent(name)}; Expires=${expires.toGMTString()}; HttpOnly; Path=/`,
});
res.end();
// name이라는 쿠키가 있는 경우
} else if (cookies.name) {
res.writeHead(200, { 'Content-Type': 'text/plain; charset=utf-8' });
res.end(`${cookies.name}님 안녕하세요`);
} else {
try {
const data = await fs.readFile(path.join(__dirname, 'cookie2.html'));
res.writeHead(200, { 'Content-Type': 'text/html; charset=utf-8' });
res.end(data);
} catch (err) {
res.writeHead(500, { 'Content-Type': 'text/plain; charset=utf-8' });
res.end(err.message);
}
}
})
.listen(8084, () => {
console.log('8084번 포트에서 서버 대기 중입니다!');
});
🌕 쿠키 옵션
- Set-Cookie 시 다양한 옵션이 있음
- 쿠키명=쿠키값: 기본적인 쿠키의 값, mycookie=test 같이 설정
- Expires=날짜: 만료 기한, 이 기한이 지나면 쿠키 제거, 기본값은 클라이언트가 종료될 때까지
- Max-age=초: Expires와 비슷, 날짜 대신 초 입력, 해당 초가 지나면 쿠키 제거, Expires보다 우선
- Domain=도메인명: 쿠키가 전송될 도메인 특정, 기본값은 현재 도메인
- Path=URL: 쿠키가 전송될 URL 특정, 기본값은 ‘/’, 이 경우 모든 URL에서 쿠키 전송
- Secure: HTTPS일 경우에만 쿠키 전송
- HttpOnly: 설정 시 자바스크립트에서 쿠키 접근 불가능, 쿠키 조작 방지 위해 설정
🌕 세션 사용하기
- 쿠키의 정보는 노출되고 수정되는 위험
- 중요한 정보는 서버에서 관리하고 클라이언트에는 세션 키만 제공
- 서버에 세션 객체(session) 생성 후, uniqueInt(키)를 만들어 속성명으로 사용
- 속성 값에 정보 저장하고 uniqueInt를 클라이언트에 보냄
- 실 서버에서는 express-session 사용하기
const http = require('http');
const fs = require('fs').promises;
const path = require('path');
const parseCookies = (cookie = '') =>
cookie
.split(';')
.map(v => v.split('='))
.reduce((acc, [k, v]) => {
acc[k.trim()] = decodeURIComponent(v);
return acc;
}, {});
const session = {};
http.createServer(async (req, res) => {
const cookies = parseCookies(req.headers.cookie);
if (req.url.startsWith('/login')) {
const url = new URL(req.url, 'http://localhost:8085');
const name = url.searchParams.get('name');
const expires = new Date();
expires.setMinutes(expires.getMinutes() + 5);
const uniqueInt = Date.now();
session[uniqueInt] = {
name,
expires,
};
res.writeHead(302, {
Location: '/',
'Set-Cookie': `session=${uniqueInt}; Expires=${expires.toGMTString()}; HttpOnly; Path=/`,
});
res.end();
// 세션쿠키가 존재하고, 만료 기간이 지나지 않았다면
} else if (cookies.session && session[cookies.session].expires > new Date()) {
res.writeHead(200, { 'Content-Type': 'text/plain; charset=utf-8' });
res.end(`${session[cookies.session].name}님 안녕하세요`);
} else {
try {
const data = await fs.readFile(path.join(__dirname, 'cookie2.html'));
res.writeHead(200, { 'Content-Type': 'text/html; charset=utf-8' });
res.end(data);
} catch (err) {
res.writeHead(500, { 'Content-Type': 'text/plain; charset=utf-8' });
res.end(err.message);
}
}
})
.listen(8085, () => {
console.log('8085번 포트에서 서버 대기 중입니다!');
});
4.4 HTTPS와 HTTP2
🌕 HTTPS
- 웹 서버에 SSL 암호화를 추가하는 모듈
- 오고 가는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중간에 다른 사람이 요청을 가로채더라도 내용을 확인할 수 없음
- 요즘에는 https 적용이 필수(개인 정보가 있는 곳은 특히)
🌕 HTTPS 서버
- http 서버를 https 서버로
- 암호화를 위해 인증서가 필요, 발급받아야 함
- createServer가 인자를 두 개 받음
- 첫 번째 인자는 인증서와 관련된 옵션 객체
- pem, crt, key 등 인증서를 구입할 때 얻을 수 있는 파일 넣기
- 두 번째 인자는 서버 로직
const https = require('https');
const fs = require('fs');
https.createServer({
cert: fs.readFileSync('도메인 인증서 경로'),
key: fs.readFileSync('도메인 비밀키 경로'),
ca: [
fs.readFileSync('상위 인증서 경로'),
fs.readFileSync('상위 인증서 경로'),
],
}, (req, res) => {
res.writeHead(200, { 'Content-Type': 'text/html; charset=utf-8' });
res.write('<h1>Hello Node!</h1>');
res.end('<p>Hello Server!</p>');
})
.listen(443, () => {
console.log('443번 포트에서 서버 대기 중입니다!');
});
🌕 HTTP2
- SSL 암호화와 더불어 최신 HTTP 프로토콜인 http/2를 사용하는 모듈
- 요청 및 응답 방식이 기존 http/1.1보다 개선됨
- 웹의 속도도 개선됨
🌕 HTTP2 적용 서버
- https 모듈 -> http2
- createServer 메서드-> createSecureServer 메서드
const http2 = require('http2');
const fs = require('fs');
http2.createSecureServer({
cert: fs.readFileSync('도메인 인증서 경로'),
key: fs.readFileSync('도메인 비밀키 경로'),
ca: [
fs.readFileSync('상위 인증서 경로'),
fs.readFileSync('상위 인증서 경로'),
],
}, (req, res) => {
res.writeHead(200, { 'Content-Type': 'text/html; charset=utf-8' });
res.write('<h1>Hello Node!</h1>');
res.end('<p>Hello Server!</p>');
})
.listen(443, () => {
console.log('443번 포트에서 서버 대기 중입니다!');
});
4.5 CLUSTER
🌕 CLUSTER
- 기본적으로 싱글 스레드인 노드가 CPU 코어를 모두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모듈
- 포트를 공유하는 노드 프로세스를 여러 개 둘 수 있음
- 요청이 많이 들어왔을 때 병렬로 실행된 서버의 개수만큼 요청이 분산됨
- 서버에 무리가 덜 감
- 코어가 8개인 서버가 있을 때: 노드는 보통 코어 하나만 활용
- cluster로 코어 하나당 노드 프로세스 하나를 배정 가능
- 성능이 8배가 되는 것은 아니지만 개선됨
- 단점: 컴퓨터 자원(메모리, 세션 등) 공유 못 함
- Redis 등 별도 서버로 해결
🌕 서버 클러스터링
- 마스터 프로세스와 워커 프로세스
- 마스터 프로세스는 CPU 개수만큼 워커 프로세스를 만듦(worker_threads랑 구조 비슷)
- 요청이 들어오면 워커 프로세스에 고르게 분배
- 요청이 들어올 때마다 서버 종료되도록 설정
- 실행한 컴퓨터의 코어가 8개이면 8번 요청을 받고 종료됨
- 워커가 죽을 때마다 새로운 워커를 생성
- 이 방식은 좋지 않음
- 오류 자체를 해결하지 않는 한 계속 문제가 발생
- 하지만 서버가 종료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어 참고할 만함
const cluster = require('cluster');
const http = require('http');
const numCPUs = require('os').cpus().length;
if (cluster.isMaster) {
console.log(`마스터 프로세스 아이디: ${process.pid}`);
// CPU 개수만큼 워커를 생산
for (let i = 0; i < numCPUs; i += 1) {
cluster.fork();
}
// 워커가 종료되었을 때
cluster.on('exit', (worker, code, signal) => {
console.log(`${worker.process.pid}번 워커가 종료되었습니다.`);
console.log('code', code, 'signal', signal);
cluster.fork();
});
} else {
// 워커들이 포트에서 대기
http.createServer((req, res) => {
res.writeHead(200, { 'Content-Type': 'text/html; charset=utf-8' });
res.write('<h1>Hello Node!</h1>');
res.end('<p>Hello Cluster!</p>');
setTimeout(() => { // 워커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1초마다 강제 종료
process.exit(1);
}, 1000);
}).listen(8086);
console.log(`${process.pid}번 워커 실행`);
}
출처
Node.js 교과서 개정 3판(조현영)
728x90
반응형
'WEB >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DE.JS] 5장 패키지 매니저 (0) | 2023.04.18 |
---|---|
[NODE.JS] 1장 노드 시작하기 (0) | 2023.04.13 |
[NODE.JS] 3. mongoDB model & Schema (0) | 2021.10.06 |
[NODE.JS] 2. mongoDB 연결하기 (2) | 2021.10.01 |
[NODE.JS] 1. Node.js와 Express.js 다운로드하기 (2) | 2021.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