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열 슬라이싱
문법 : [start_index:end_index:step_num]
start_index의 위치에서 end_index-1의 위치까지, step_num만큼 건너뛰어서 슬라이싱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greeting = "HELLO"
print(greeting[:]) # HELLO 출력
print(greeting[3:]) # LO 출력
print(greeting[:2]) # HE 출력
print(greeting[2:4]) # LL 출력
print(greeting[0:4:2]) # HL 출력
✅문자열 함수
➰.upper() 함수
문자열에 포함된 알파벳을 모두 대문자로 바꾼다. 대문자와 알파벳이 아닌 것은 그대로 둔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print("Hello".upper()) # HELLO 출력
➰.lower() 함수
문자열에 포함된 알파벳을 모두 소문자로 바꾼다. 소문자와 알파벳이 아닌 것은 그대로 둔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print("Hello".lower()) # hello 출력
➰.swapcase() 함수
문자열에 포함된 알파벳의 대소문자를 서로 바꾼다. 알파벳이 아닌 것은 그대로 둔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print("Hello".upper()) # hELLO 출력
➰.title() 함수
문자열에 포함된 각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바꾸고 단어의 첫 글자가 아닌 경우 소문자로 바꿔 제목형으로 만든다. 알파벳이 아닌 것은 그대로 둔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print("the nEw CAR".title()) # The New Car 출력
➰len() 함수
문자열에 포함된 문자의 개수를 계산한다. 공백, 특수기호, 숫자도 모두 계산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print(len("Hello PYTHON><")) # 14 출력
➰.count("단어") 함수
문자열에 "단어"가 몇 개 포함되어 있는지 계산한다. 다른 단어의 일부라도 계산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print("This is my car".count("is")) # 2 출력
➰.find("단어") 함수
문자열에서 "단어"가 몇 번째 인덱스에 있는지 계산한다. 다른 단어의 일부라도 계산한다. "단어"를 찾지 못했다면 -1로 계산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print("A Whole New World".find("o")) # 4 출력
➰.rfind("단어") 함수
문자열에서 "단어"가 몇 번째 인덱스에 있는지 뒤에서부터 계산한다. 다른 단어의 일부라도 계산한다. "단어"를 찾지 못했다면 -1로 계산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print("A Whole New World".rfind("o")) # 3 출력
➰.index("단어") 함수
문자열에서 "단어"가 몇 번째 인덱스에 있는지 계산한다. 다른 단어의 일부라도 계산한다. "단어"를 찾지 못하면 에러가 발생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print("A Whole New World".index("o")) # 4 출력
➰.rindex("단어") 함수
문자열에서 "단어"가 몇 번째 인덱스에 있는지 뒤에서부터 계산한다. 다른 단어의 일부라도 계산한다. "단어"를 찾지 못하면 에러가 발생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print("A Whole New World".rindex("o")) # 3 출력
➰.startswitch("단어") 함수
문자열이 "단어"로 시작하면 True, 아니면 False를 리턴한다. 온전한 단어가 아니어도 시작이 일치하는지 검사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print("APPLE".startswith("APP")) # True 출력
➰.endswitch("단어") 함수
문자열이 "단어"로 끝나면 True, 아니면 False를 리턴한다. 온전한 단어가 아니어도 끝이 일치하는지 검사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print("APPLE".startswith("AL")) # False 출력